행사 안내

KOREAN CULTURAL CENTER

  • 행사 안내
  • 강좌
  1. 2025 K-관광 토크쇼
    저희의 첫 번째 K-관광 토크쇼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실제로 한국을 여행한 사람들이 직접 나서서 자신이 가장 좋아했던 추억, 팁, 그리고 여행 계획에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발표자들이 자신에게 효과적이었던 여행 방법, 한국에서의 이동 및 생활에 대한 실용적인 팁, 그리고 다음 여행을 잊지 못할 추억으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조언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4월 23일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발표자들이 자신의 여행 사진과 영상을 통해 한국 전역을 여행한 최근 경험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K-Pop 콘서트와 인기 여행지 방문, K-드라마 촬영지 투어, 독특한 음식 체험, 가족 여행, 역사 유적지 탐방, 유학 중 즐기는 한국 생활까지, 그리고 무엇보다도 새로운 친구들을 만난 이야기까지 들어볼 수 있습니다. 행사 중 질의응답 시간도 있으니 궁금한 점을 직접 질문해보세요.  이번 K-관광 토크쇼는 총 2회에 걸쳐 열리며, 첫 번째는 4월 23일, 두 번째는 5월 28일에 새로운 게스트와 여행 경험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K-관광 토크쇼 일정  1.) 4월 23일 오후 6시 30분  2.) 5월 28일 오후 6시 30분 (TBD) RSVP FOR THIS EVENT! (APRIL 23)     발표자 및 여행 테마 소개   Emma : 2024년 한국에서 4개월간 유학하며, “서울은 물론 그 너머까지 정말 많은 곳을 탐험했다”고 말합니다. 현지 친구들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노래방, 한강에서 치맥 즐기기, 템플스테이, 그리고 “정말, 정말, 정말 많은 카페!”를 경험하며 한국의 일상 속 즐거움을 느꼈습니다.  Michael :  2024년 한국에서 4개월간 유학하며, “서울은 물론 그 너머까지 정말 많은 곳을 탐험했다”고 말합니다. 현지 친구들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노래방, 한강에서 치맥 즐기기, 템플스테이, 그리고 “정말, 정말, 정말 많은 카페!”를 경험하며 한국의 일상 속 즐거움을 느꼈습니다.   Dhania : 열혈 K-Pop 팬으로서 2024년 한국을 10일간 여행하며 “문화, 맛있는 음식, 그리고 예상치 못했던 끈끈한 유대감”을 만들었습니다. 한국의 지도 앱을 이용해 대중교통을 익히고, 제주도 여행도 다녀오며 BTS 팬들이 자주 찾는 명소들도 방문했습니다.   Soomin : 8명으로 구성된 음식 투어 그룹을 이끌었습니다. 2012년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 한국에서 태어난 Soomin은 한국의 길거리 음식부터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까지 맛보는 특별한 미식 여행을 함께했습니다. 이번 여행의 핵심은 바로 “음식”이었습니다!   Ronda : 2024년 K-드라마 명소를 중심으로 구성된 단체 투어에 참여했습니다. 서울부터 부산까지 한국 전역을 여행하며 요리 수업, 패션 체험 등 특별한 문화 체험도 포함된 “정말 멋진 경험”이었습니다. Ronda는 “여행이 끝난 뒤에도 지속되는 커뮤니티와 평생 친구를 얻었다”고 말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발표자 모집 신청은 마감되었습니다. 한국 관광에 대해 경험을 공유하고 싶은 분들을 모십니다! 워싱턴한국문화원(박종택 원장)은 ‘2025 K-관광 토크쇼’를 봄에 개최하여, 한국 여행을 경험한 사람들이 앞으로 한국을 방문할 여행자들에게 여행 팁과 인사이트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합니다! 도시 여행, K-푸드 매니아, 배낭 여행자, 자연 관광객, K-팝 콘서트 팬 등 누구든지 자신의 한국 여행 경험을 나누고 싶다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본 토크쇼에서는 한국에서의 여행 계획, 좋아하는 여행지, 교통 수단 이용 방법,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 등을 다룰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경험을 나누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신나게 한국 여행을 계획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본 행사는 한국을 방문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려 있으며, 누구든지 참석하여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지금 바로 ‘발표자’로 신청할 수 있으며, 추후 관람객으로 참석희망 여부에 대한 별도의 RSVP는 나중에 공지될 예정입니다.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해 주세요. 행사 개요 • 행사 일자: 2025년 4월, 5월 • 발표자 신청 마감: 2025년 3월 24일 • 결과 발표: 2025년 3월 31일 • 발표자 보상: $200 신청 자격 발표자로 신청하려면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최근 3년 내에 한국을 관광 또는 개인적인 목적으로 방문한 경험이 있는 분 (비즈니스나 학업 목적이 아닌 여행자)  • 본인의 여행 사진, 영상, 소셜 미디어 콘텐츠 등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약 10분 간의 발표를 진행하고, 청중과의 Q&A 세션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분  • 2025년 4월 또는 5월에 본 행사에 직접 참석할 수 있는 분  • 신청서와 함께 발표 자료로 사용할 멀티미디어 콘텐츠 샘플을 제출할 수 있는 분 (PowerPoint 형식 권장) 신청 방법 발표자로 신청하려면 우선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샘플을 첨부하여 제출 바랍니다.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파일은 김동규 실무관(dongkyu.kim@mofa.or.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에는 본인 이름과 정보를 포함하여 신청서와 일치하게 제출 바랍니다. 선정된 분들에게는 이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연락드릴 예정이며, 보상은 행사 후에 제공됩니다. 신청 링크 (신청이 마감 되었습니다.) 문의 사항 문의 사항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김동규 실무관(dongkyu.kim@mofa.or.kr)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 워싱턴한국문화원 K-컬쳐 토크: 한식 문화 체험 행사 개최
    주워싱턴한국문화원(원장 박종택)은 4대 명절인 한식(寒食, 4/5)을 기념하여 한국 음식과 식문화를 체험하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행사는 DC소재 한식당을 운영하는 셰프 Danny Lee와의 협업으로 운영됩니다.   한국의 전통 음식 with Chef Danny Lee 일시: 2025년 4월 17일(목) 오후 5시 30분-7시 장소: 워싱턴한국문화원 1층 브리핑룸 내용: 한국 음식 및 식문화에 대한 강연 및 전통 음식 '잡채'의 조리 과정을 관람하고 시식하는 체험 제공 주제: 한국 요리의 발전 과정, 미국에서 바라보는 한식, 한식의 세계화 등 한국 음식과 관련한 토크 진행   프로그램 세부 내용: • 한국 음식과 문화 강의: 셰프 대니 리가 전하는 한국 음식의 역사와 발전 과정, 고유한 특징에 대해 함께 알아봅니다. • 전 세계에서의 K-푸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한국 음식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K-푸드 트렌드의 급성장과 그 배경을 살펴보며 한국 음식의 글로벌 확산을 함께 탐구합니다. • 셰프의 요리 시연: 셰프가 직접 잡채를 만드는 과정을 관람하고, 집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요리 팁과 기술을 배워보세요. • 한국 음식(잡채) 시식: 셰프가 만든 잡채를 시식하며 한국 전통 요리의 깊은 맛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RSVP FOR THIS EVENT!     *본 행사는 참여 가능 인원이 한정되어 있어 사전 준비가 필요함에 따라 꼭 참석이 가능한 분만 신청 부탁드립니다 (선착순 30명)   셰프 소개: 대니 리 (Danny Lee)   ㅇ DC 최초의 정통 한식당 ‘만두(Mandu)’를 시작으로, 중식과 한식을 결합한 CHIKO, 전통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루는 안주(Anju)를 오픈하며 현지에서 다채로운 한식을 선보임.   ㅇ 대니 리는 2022 RAMMY 어워드 올해의 레스토랑 경영자(Restaurateurs of the Year)로 선정되었으며, HBO, 넷플릭스, 투데이 쇼 (The Today Show), 굿모닝 아메리카(Good Morning America),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등 다양한 국내외 미디어에 출연하며 주목을 받음.   문의: 워싱턴한국문화원 행사 담당자: yeong0@mofa.or.kr
  3. K-컬쳐 토크: 한국의 시와 가곡 워크숍
    2025년 4월 3일(목) 오후 6:30 워싱턴문화원 다목적홀 워싱턴한국문화원(원장 박종택, 이하 문화원)은 2025년 4월 3일(목) 오후 6시 30분, 워싱턴문화원 다목적홀에서 K-컬쳐 토크 시리즈로 <한국의 시와 가곡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현지 예술기관인 아시안 아메리칸 뮤직 소사이어티(Asian American Music Society)와 공동으로 개최되는 행사로, 한국의 시와 가곡을 통해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소개하며, 현지 관객들에게 그 깊이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최근 한국의 영화, 드라마, 한국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가곡의 가사와 의미를 탐구하여 한국 음악과 문학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행사는 한국의 유명 시인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된 흥미로운 한국 가곡들을 소개하며 약 60분간 진행된다. 가곡의 가사와 내용을 소개하고 실제 노래와 공연을 통해 관객들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행사 후에는 별도의 한식 리셉션이 개최돼 예술가와의 만남의 자리도 마련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이별의 노래(박목월)", "천개의 바람(김성규)", "내 마음에 아이가 산다(윤동주 시)", "사랑의 꿈(이백수)",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이태백)", "첫사랑(김소월)", "어느 행복한 아침에(한용운)", "그리워 그리워(오페라 '춘향전' 중)" 등의 시와 가곡이 공연된다.   동 행사에는 양미라 교수(소프라노), 이재남 교수(테너), 권기선 교수(소프라노), 홍은영 교수(소프라노), 이승윤 교수(피아니스트) 등 현지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우수한 음악가들뿐만 아니라, 낸시 맥클레인, 캘리 쿠퍼, 미카엘라 마린, 데이비드 맹, 도하 타우픽, 김승교 등 조지메이슨대학교 학생 예술가들이 출연한다.   이번 행사의 파트너로 협력하는 아시안 아메리칸 뮤직 소사이어티는 1989년에 설립되어 다양한 아시아 음악을 현지에 소개하는 단체이다. 동 단체는 케네디 센터뿐만 아니라 현지 아시아 국가 대사관들과 협력해 공연, 워크숍, 강연, 경연대회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활발히 개최하고 있는 비영리 기관이다.   이번 워크숍은 현지 관객들에게 한국의 시와 가곡의 우수성을 선보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티켓은 무료로 3월 24일(월)부터 워싱턴문화원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이 가능하다. Thank you for your interest! This event has reached maximum capacity.
  4.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한강 라운드테이블 및 공유회
    주워싱턴한국문화원(원장 박종택)은  작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여 ‘한강 라운드테이블 및 공유회’를 개최합니다. 본 행사에서는 전문가와 독자가 한강의 작품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고, 독후감을 나누며 노벨문학상 수상의 의의와 영향력에 대해 함께 탐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는 조지메이슨 대학교 박현선 교수와의 협업으로 진행됩니다.   행사 일정 일시: 2025년 2월 27일 (목) 오후 5시 – 7시  장소: 워싱턴 D.C. 한국문화원 (2370 Massachusetts Ave. NW Washington, D.C. 20008) 행사 참석 신청 링크  세션 I: ‘독후감 공유회’에서는 한강의 작품에 대한 감상평, 경험, 후기 등을 공유하는 시간이 마련됩니다. 해당 세션 참여를 희망하는 분은 사전 접수를 진행해야 하며, 행사 당일 현장 낭독, 녹화 영상 재생 등 선호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에게는 감사의 선물로 한국 공예 키트가 제공됩니다.   세션 II: ‘전문가 라운드테이블’에는 조지메이슨대학교 박현선, 정영아 교수와 조지워싱턴대학교 임마누엘김 교수가 참여합니다.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3명의 한국문학 전문가는 한강의 작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대 사회의 모습과 작품에 미친 영향,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가지는 의의 등 다양한 주제로 토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작가 한강 소개 한강은 『채식주의자』를 통해 2016년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로 꼽히는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하였으며, 2024년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한국 작가입니다.   독후감 공유회 참여 신청 독후감 공유회에 참여를 희망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서를 접수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강의 영문 번역 도서는 워싱턴한국문화원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독후감 공유회 참여 신청 링크  신청 마감일: 2월 19일 (수) 오후 12시 (기간 연장) 전문가 라운드테이블 참여자 박현선 교수 (조지메이슨대학교 현대 및 고전 어문학 교수) 임마누엘 김 교수 (조지워싱턴대학교 한국문학 및 문화학 교수) 정영아 교수 (조지메이슨대학교 현대 및 고전 어문학 교수)   문의 행사 담당자 이메일: yeong0@mofa.or.kr   전화: 202-939-5685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